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톡톡

신혼부부 매입임대 vs 행복주택, 뭐가 더 좋을까?

by 찐찐부자엄마 2025. 7. 10.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갓 결혼한 신혼부부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합니다. “행복주택이 좋을까? 매입임대가 좋을까?” 두 제도 모두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안정적인 거주 공간을 제공하지만, 공급 방식, 임대 조건, 입주 자격, 위치, 거주 기간 등에서 차이가 큽니다.

신혼부부 매입임대 vs 행복주택, 뭐가 더 좋을까?

 

오늘은 이 두 주택 유형을 표로 비교하고, 어떤 경우 어떤 선택이 더 유리한지 현실적으로 알려드릴게요.

나에게 맞는 집은 무엇일까? 짧은 선택으로 돌이킬수 없는 후회가 생길수 있으니 3분만에 비교해서 선택하세요!

 

 

 

✅ 1. 신혼부부 매입임대와 행복주택의 개념 차이

나에게 맞는 주택은 무엇인지 10초만에 비교해 보세요!

 

구분 신혼부부 매입임대 행복주택
공급 주체 LH·지자체 LH·지자체
공급 방식 기존 주택을 매입 후 임대 택지 개발 후 신축 공급
주거 형태 빌라, 아파트 등 기존 건물 신축 아파트 형태
주된 대상 신혼부부, 예비신혼, 자녀 있는 가구 신혼부부 외 청년, 고령자, 사회초년생 등
신청 시기 수시공급, 지역별 상이 통합공고 분기별 진행 (연 4회)
 

📌 매입임대는 ‘집을 사서 임대’, 행복주택은 **‘집을 지어서 임대’**하는 구조입니다.

 

 

✅ 2. 자격 요건 차이


항목 신혼부부 매입임대 행복주택 (신혼부부 유형)
혼인 조건 혼인 7년 이내, 예비신혼 가능 동일
무주택 조건 세대원 전원 무주택 동일
자녀 요건 자녀 없어도 가능, 있으면 우선공급 동일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100~120% 이하 도시근로자 소득 100~130% 이하
자산 기준 총자산 3.25억 이하 부동산 2.1억 이하, 차량 3,557만원 이하

📌 매입임대는 ‘총자산’ 기준, 행복주택은 ‘부동산·차량 각각’ 기준이 명확합니다.

 

✅ 3. 임대 조건 & 거주기간 비교

항목 신혼부부 매입임대 행복주택 (신혼부부 유형)
임대료 시세의 30~50% 시세의 60~80%
임대기간 최초 2년 계약, 최장 20년 가능 최초 2년 + 2회 연장 (최장 6년, 자녀 있으면 10년)
우선 순위 2세 미만 자녀 가구 우선공급(2024.6.19 이후 출산) 자녀 수, 무주택 기간 등 종합 순위 산정
주거면적 전용 40~60㎡, 지역별 상이 2659㎡ (신혼형은 주로 44~59㎡)

📌 매입임대가 임대료는 더 저렴하고, 장기 거주 가능성은 높음, 하지만 신축 아파트를 원하는 경우는 행복주택이 인기입니다.

 

 

✅ 4. 선택 기준 요약


나는 이런 사람! 추천 유형
“아이 낳았고, 월세 부담이 크다” 매입임대
“새 아파트에 살고 싶고, 직장 근처에 살고 싶다” 행복주택
“결혼 앞두고 신혼집부터 잡고 싶다” 두 유형 모두 신청 추천
“장기적으로 안정적으로 거주하고 싶다” 매입임대
“소득이 높아서 소득 기준이 걱정된다” 행복주택 (소득기준 완화)
 

 

✅ 5. 신청 꿀팁

  •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에서 두 유형 모두 신청 가능
  • 매입임대는 수시공급, 행복주택은 3·6·9·12월 공고
  • 두 유형 모두 중복 신청 가능하지만, 당첨은 1곳만

 

✅ 6. 마무리 요약

신혼부부라면 매입임대 vs 행복주택은 선택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 임대료 부담이 가장 중요하면 ‘매입임대
  • 위치·환경·신축 선호하면 ‘행복주택

📌 두 제도의 성격이 다른 만큼, 내 소득, 자녀 유무, 원하는 입주 시기에 따라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 “내 조건에 맞는 신혼부부 주택은?”

 

[LH청약플러스 청약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