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마의 돈공부

DB vs DC vs IRP 퇴직연금 종류별 특징과 수익률 차이는?

by 찐찐부자엄마 2025. 8. 14.

퇴직연금, DB, DC, IRP가 뭔지 들어는 봤는데 막상 비교하려면 헷갈리죠? “내게 가장 좋은 퇴직연금은 무엇일까?” 궁금해하는 분들 많아요. 이해하기 쉽게 퇴직연금 종류별 특징과 수익률 차이까지 알려드릴게요! 

DB vs DC vs IRP 퇴직연금 종류별 특징과 수익률 차이는?

 

 

👉나도 대상이 될까? 조회해보기

 

1. 퇴직연금 DB형, DC형, IRP란?

  • DB형(확정급여형)
    • 퇴직 시 받는 연금액이 사전에 확정되어 있어요.
    • 회사가 퇴직급여 지급 책임을 지며, 투자 위험은 회사 부담. 
    • 안정성은 높지만, 수익률이 낮고 개인이 수익률을 직접 관리할 수 없어요.
  • DC형(확정기여형)
    • 회사가 매년 퇴직금을 이체해주고, 운용은 근로자 책임.
    • 근로자가 직접 투자 상품을 선택해 수익률을 관리.
    • 수익률에 따라 최종 연금액 변동. 투자능력에 따라 수익률 차이 큼
  • IRP(개인형 퇴직연금)
    • 개인이 직접 가입하는 퇴직연금 계좌로, 퇴직금 이체 및 추가 납입 가능.
    • 근로자 개인이 투자 상품을 선택해 수익률을 관리.
    • 세제 혜택도 크고, 운용 자율성이 높아요.

 

2. 수익률 차이와 운용 방식 비교

● DB형(확정급여형) 

  • 회사가 퇴직금 지급액을 미리 확정해요.
    예를 들어, 퇴직할 때 받는 금액이 ‘최종 급여 × 근속 연수’로 정해짐.
  • 회사가 퇴직금을 모아 운용하고 책임도 회사가 지는 구조예요.
  • 근로자는 운용 방법이나 투자 상품을 선택하지 못하고,
  • 퇴직 시 확정된 금액을 받기 때문에 수익률 변동 위험은 회사 부담이에요.
  • 안정적이지만, 보수적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많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어요.

● DC형(확정기여형) 

  • 회사가 매년 퇴직금을 퇴직연금 계좌에 적립해 줘요.
  • 적립된 돈은 근로자가 직접 투자 상품(펀드, 채권, ETF 등)을 선택해 운용해요.
  • 수익률은 투자 성과에 따라 달라지며,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근로자에게 있어요.
  • 근로자가 투자 결정을 잘 하면 수익을 더 높일 수 있지만, 위험도 감수해야 해요.

 

3. DB형 vs DC형 수익률 계산 예시

● 조건
근로자 연봉: 5,000만 원퇴직급여 적립률: 10%(연 500만 원 적립)
투자 기간:20년
DB형 수익률: 연평균 1.6% (최근 평균치 반영)
DC형 수익률: 연평균 3.5% (적극적으로 운용 가능한 현실적 수익률 가정)

● DB형 수익률 계산 (확정급여형)

연도 적립금액(만원) 누적금액(만원, 이자 포함)
1 500 500
2 500 500×1.016 + 500 = 1,008
3 500 1,008×1.016 + 500 = 1,523
... ... ...
20 500 약 11,200만원
 

매년 500만 원씩 20년 적립/연평균 1.6% 수익률로 운용 /최종 예상 적립금액: 약 11억 2천만 원


● DC형 수익률 계산 (확정기여형)

연도 적립금액(만원) 누적금액(만원, 이자 포함)
1 500 500
2 500 500×1.035 + 500 = 1,017
3 500 1,017×1.035 + 500 = 1,553
... ... ...
20 500 약 12,700만원
 

매년 500만 원씩 20년 적립/ 연평균 3.5% 수익률로 운용 / 최종 예상 적립금액: 약 12억 7천만 원

 

요약

  • DB형: 약 11억 2천만 원 (연 1.6% 수익률)
  • DC형: 약 12억 7천만 원 (연 3.5% 수익률)
  • 수익률 차이가 크진 않지만, DC형이 약간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 다만 DC형은 투자 성향과 리스크 감수가 필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4. 장단점 및 나에게 맞는 퇴직연금 선택법


구분 DB형 DC형 IRP
책임 회사가 운용 및 지급 책임 근로자가 운용 책임 근로자가 운용 책임
수익률 안정적, 낮은 편 변동성 높음, 수익률 높음 가능 변동성 높음, 운용 자유로움
운용 회사 지정 근로자 직접 선택 근로자 직접 선택
세제혜택 일반적 연금소득 과세 일반적 연금소득 과세 연금저축과 합산 세액공제 가능
장점 안정성, 확정 지급 운용 자율성, 수익률 기대 세액공제, 자유로운 추가 납입
단점 낮은 수익률, 선택권 제한 투자 위험 부담 운용 복잡, 투자 지식 필요
  • 안정적인 노후자금이 중요하면 DB형 선택
  • 적극적 투자로 수익 극대화 원하면 DC형과 IRP
  • 퇴직금과 개인 자금 통합 관리하려면 IRP 추천

👉내 퇴직연금 수익률 진단해보기

 

 

5. 퇴직연금 수익률 높이는 꿀팁과 주의사항

  • 투자 성향에 맞는 자산 배분 전략 필수
  • 장기 투자 관점에서 꾸준한 관리와 리밸런싱 권장
  • 수수료 구조 꼼꼼히 비교하고 비용 낮은 상품 선택
  • IRP 계좌를 활용해 퇴직금과 개인 납입금 통합 운용
  • 금융기관별 서비스와 상담 지원 적극 활용

퇴직연금은 꾸준함이 관건! 지나친 단기 성과에 흔들리지 말고 장기적으로 계획하세요.

 

 

6. FAQ (자주 묻는 질문 5가지)

  1. DB형과 DC형 중 어떤 게 더 좋은가요?
    • 개인 투자성향과 안정성 선호도에 따라 다릅니다. 안정성을 원하면 DB, 수익률 기대하면 DC 추천해요.
    • 은퇴시점 연봉이 높다면 DB형도 안정적이에요.
  2. IRP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나요?
    • 네, 퇴직금이 있거나 없어도 개인이 직접 가입 가능합니다.
  3.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은?
    • 자산배분 전략 수립과 주기적 리밸런싱, 수수료 확인이 중요합니다.
  4. 퇴직금은 반드시 IRP로 이체해야 하나요?
    • 아닙니다. 선택 사항이나 이체 시 세제 혜택과 운용 자유가 커집니다.
  5. 퇴직연금 해지하면 불이익이 있나요?
    • 조기 해지 시 세금과 페널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신중해야 합니다.

퇴직연금은 평생 노후를 위한 든든한 자산이에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참고해 나에게 딱 맞는 퇴직연금을 선택해 보세요.
지금 바로 내 퇴직연금 상태 점검하고, 현명한 투자 시작해요! 

 

 

👉 나라에서 해주는 노후준비서비스가 있다고?

[무료 노후준비 서비스 받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