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엄마의 돈공부

아이 명절 용돈, 아직도 은행에만 묶어 두나요? 목돈 만들고 절세하는 꿀팁

by 찐찐부자엄마 2025. 7. 27.

우리 아이 명절 용돈, 가만히 두면 그대로예요 “설날, 추석마다 아이가 받은 용돈, 어디에 넣어두세요?” 대부분 아이 통장에 넣어두고 그냥 모으기만 하죠? 저도 예전엔 그랬어요. 근데 통장에만 넣어두면 10년이 지나도 큰돈이 안 됩니다.

아이 명절 용돈, 아직도 은행에만 묶어 두나요? 목돈 만들고 절세하는 꿀팁

 

은행 이자는 겨우 2~3%라서 돈이 불어나질 않아요. 그래서 요즘 엄마들은 아이 용돈도 투자해서 목돈으로 만들어주는 방법을 찾고 있어요. 👉 나도 할 수 있을까? 3분이면 확인 가능!

 

 

1. 자녀명의 주식계좌로 ETF+주식 투자(증여세 절세)

 

아이 명절 용돈, 아직도 은행에만 묶어 두나요? 목돈 만들고 절세하는 꿀팁

 

엄마들이 주식은 무섭다고 하지만, 사실 ETF라는 상품은 위험이 크지 않아요. 쉽게 말하면, 주식 여러 개를 한꺼번에 사는 거라서 안정적이고 꾸준히 돈이 불어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 미국의 큰 회사들(애플, 구글 등)에 다 같이 투자하는 S&P500 ETF
  • 한국 대표 회사들에 투자하는 코스피 200 ETF

이런 상품은 10년만 투자하면 연평균 7~10%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아이가 10살이라면 20살 될 때쯤 큰돈이 되어줄 수 있죠.

 

장점은 명절 용돈 받을 때 마다 주식계좌에 넣고, 적립식으로 쌓아가면 안정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어요. 변동성이 많은 주식 말고, 위에 예로 들은 종목들을 추천드려요. 두 번째는 증여세를 낼 필요가 없어요.

 

단점은 아이 주식 계좌 공동인증서를 해마다 갱신하고, 입금하는 부분이 번거로울 수 있어요. 

 

 

2. 부모 ISA 계좌로 굴리고 나중에 증여 (절세)

ISA 들어보셨나요? 나라에서 밀어주는 절세 계좌에요.직전 연도 근로소득이 있는 자 가입 가능하고, 수익에 대해 연간 최대 200만 원(서민형 400만 원)까지 비과세, 나머지 9.9% 분리과세 되는 알짜배기 계좌예요. 쉽게 말하면 세금 거의 안 내고 투자할 수 있는 통장이에요.

 

부모 명의로 주식+ETF 투자해서 아이한테 줄 수 있어요. 부모가 자녀에게 줄 때에는 증여세가 생기지만 증여세 무료 구간에 맞게 증여하면 됩니다. 

ISA의 좋은 점

  • 예금, 펀드, ETF 다 한 통장에!
  • 수익에 대한 세금 거의 안 냄
  • 미성년자 아이에게 10년마다 2000만 원씩 증여가능해요. 성인이 될 때까지 4천만 원까지 세금 공제

단점은 3년을 유지해야해요. 은행보다 훨씬 나은 조건으로 돈을 굴릴 수 있으니까, 장기적으로 아이 목돈을 만들 때 효과적이에요.

 

👉 지금 내게 맞는 ISA 상품 확인해 보기

 

 

3. 종신보험 저축 기능 활용 (비과세, 안전성)

보험은 죽었을 때 받는 게 아니라, 요즘은 돈 모으는 용도로도 많이 써요. 푸본 종신보험의 경우 7~10년 이상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절세효과가 커요. 피보험자를 자녀로 변경할 수 있어 세금 한 푼 없이 증여가 가능하답니다. 

이런 엄마에게 추천

  • 주식은 무서운 엄마
  • 무조건 원금이 안전해야 안심인 엄마
  • 오래 묻어둘 수 있는 돈이 있는 경우

다만 단점은 중간에 해지하면 손해를 볼 수도 있어서 10년 이상 꾸준히 넣을 생각이 있어야 하고, 수익률이 높지 않아요.

 

4. 투자별 장단점 정리


투자 방법 장점 단점 추천 대상
1. 주식계좌 + ETF 투자 - 수익률 가장 높음 (연 7~10%)
- 장기 복리 효과 극대화
- 아이 명의로 투자
  (증여 절세 효과)
- 주식시장 변동성 리스크
- 부모가 직접 관리 & 공부 필요
적극적으로 돈을 굴리고 싶은 부모
장기 투자할 여유 있는 경우
2. ISA 계좌
(비과세 종합계좌)
- 다양한 상품(예금+펀드+ETF)
   투자 가능
- 수익 비과세 혜택
   (3년 이상 유지 시)
- 자녀 명의로 직접 개설 불가
- ISA에 대한 기본 이해 필요
안정적으로 굴리고 싶고, 절세 효과를 원하는 부모
3. 종신보험
(비과세 저축형 상품)
- 원금 손실 위험 적음
  (10년 이상 유지 시)
- 비과세 혜택 (사망보험금+적립금)
- 계약자 변경으로 자연스러운 증여    가능
- 수익률 낮음 (연 3~4%)
- 중도 해지 시 손해
- 유동성이 낮음
안정성과 절세가 최우선인 부모
장기 유지 가능한 경우

 

5. 40대 엄마의 실제 후기

아이 명절 용돈, 작은 돈이라도 꾸준히 굴리면 5년, 10년 후엔 진짜 목돈이 돼요. 5% 적금도 단리이기 때문에 크게 수익을 얻기는 어려워요. 5% 대 적금으로 아동수당 5년 넣었더니 원금 600만 원에 이자 64만 원 정도 받았어요. 연평균 수익률 2.15% 수준이었답니다.

적금은 역시 아쉬워!

'이 돈으로 주식이나 ETF투자해서 줄걸' 하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저는 지금 무배당 종신보험과 ISA, 자녀 주식계좌 투자, 5% 적금을 모두 하고 있어요. 5% 이자라고 해서 혹해서 적금을 들었었는데 수익률이 많이 아쉬웠고, ISA계좌를 운용하여 목돈으로 받은 용돈을 굴려서 자녀에게 증여할 계획이랍니다. 

 

👉 똑똑한 투자로 아이 명절용돈 목돈 만들어서 주세요. 지금 시작하는 게 제일 중요해요.

 


[ 미래에셋 ISA계좌 만들러 가기]